Blog
오페라의 15번째 생일
오늘은 오페라의 15번째 생일입니다. :) 1994년, 640K의 RAM이 모두들 충분하다고 생각했고, 아직 286 컴퓨터의 베이지 컬러가 초 신상이라고 생각했던 시절... 뭐라고? 웹페이지는 인쇄가 불가능 하다고?? Jon von Tetzchner: 이 브라우저는 너무너무 느려. 안되겠어 Geir, 우리가 직접 만들어야겠어! Håkon Wium Lie: 단 두명이서 만들겠다고요?! 모자익과 같은 덩치 큰 회사와 어떻게 경쟁을 하려고요? Jon von Tetzchner: 우리가 더 좋은 브 …
browser |2009-04-28 | Comments (4)
음성 및 텍스트형 별도 홈페이지에 대한 잘못된 정보
해외의 장애인 웹접근성 사례(음성 및 텍스트형 별도 홈페이지 사례)를 보면 텍스트 전용 페이지와 음성 출력이 장차법을 준수하는 것이고 실제적인 장애인 지원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여러 사이트를 예로 들고 있지만, 실제로는 브라우즈 얼라우드(Browsealoud)라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 예를 든 것이다. 맨 마지막에 있는 IPC 사이트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써져 있지만 링크된 페이지에 들어가보면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이나 링크는 없다. 마치 외국은 음성과 텍스트 전용 페이지를 많이 사용 …
accessibility |2009-04-19 | Comments (8)
행정안전부, 웹 접근성 도우미 발대식
4월 20일 장애인의 날 즈음하여, 행정안전부에서 웹 접근성 도우미 발대식을 하였습니다. 저도 웹 접근성 도우미로 초청받아서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보도자료 동영상(자막 없음)에서 행사장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accessibility |2009-04-16 | Comments (0)
웹 접근성을 고려한 신기술 콘텐츠 제작기법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웹 접근성을 고려한 신기술 콘텐츠 제작기법이 나왔습니다. 자바스크립트, 플래시, 플렉스와 같은 콘텐츠를 사용할 때 어떻게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연구한 보고서입니다. 책으로 인쇄된 것을 보다가 아쉬운 부분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점진적 향상(progressive enhancement)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HTML을 낮은 수준이라고 얘기한 부분이 있는데 이 표현이 HTML의 기술 수준이 낮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이 부분을 작성할 때 HTML을 낮추는 느낌이 안들도록 신경을 많이 썼는데 편집하는 부분에서 그 부 …
accessibility |2009-04-11 | Comments (7)
웹 접근성 기술동향 및 향상방안 세미나
한국 정보문화 진흥원에서 2009년 상반기 웹 접근성 기술동향 및 향상방안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저는 접근성을 해치지 않는 자바스크립트 활용(2.3MB, PDF)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습니다. 놀라울 정도로 많은 분들이 참여하셔서 행사가 성황리에 끝난 것 같습니다. 발표내용도 다들 좋았습니다. 전체 발표 자료는 IABF사이트 자료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 올라오지 않았네요.
accessibility |2009-04-07 | Comments (0)
지마켓의 CSS 레이아웃 적용
지마켓이 CSS 레이아웃을 적용했습니다. 오픈웹에서 지마켓 사이트를 IE외의 브라우저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다는 글을 봤는데, CSS 레이아웃 적용도 또하나의 발전이라고 생각됩니다. 헤더나 푸터와 같이 공용으로 사용되는 부분은 아직 CSS 레이아웃을 적용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HTML 코드도 헤딩태크(h1~h6)는 사용을 하지 않고 거의 다 div와 ul, li로만 되어 있어서 의미에 맞게 작성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CSS로 디자인을 분리한 효과는 확실히 나타난 것 같습니다. 예전에 쇼핑몰들 웹페이지 용량을 살펴봤을 때 지마 …
site |2009-04-06 | Comments (8)
보안 프로그램 상시 작동을 강제하는 엔프로텍트
보안업체들이 액티브엑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컴퓨터를 마음대로 유린하고 있다는 내용이 오픈웹을 통해서 깊이 있게 다뤄지고 있다. 그중에 소위 보안툴이라는 것들이 은행사이트에서만 작동하는 눈가리고 아웅하는 방식이라는 내용이 있다. 이것 때문에 보안 업체에서 새로 추가를 한 기능인지, 이제는 정말 자기들 멋대로 사용자 컴퓨터를 제어하려고 들고 있다. 키보드 보안을 컴퓨터가 작동중일 때 항상 실행되도록 서비스에 등록을 하라고 한다. 또한 인터넷의 캐시 설정을 페이지를 열 때 마다로 변경하게 한다. 캐시 설정을 페이지를 열 때 마다로 변경 …
web |2009-03-31 | Comments (9)
W3C.ORG 리디자인 공개
웹표준 스펙을 제정, 배포하는 W3C 홈페이지의 다음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디자인도 산뜻하게 바뀌었고 웹사이트 구조나 정보 배치들도 훨씬 편리하게 바뀌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레이아웃이나 현재페이지 위치, 검색창 등도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기술의 기본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예를 들어 HTML과 CSS의 기본 내용을 안내하는 페이지들도 추가가 되어서 스펙에 익숙하지 않은 웹디자이너나 개발자들도 쉽게 내용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찾아들어가는 구조도 훨씬 직관적으로 개선 되었습니다. 리디자인에대한 전반 …
web |2009-03-21 | Comments (3)
인터넷 익스플로러8 정식 버젼 출시
인터넷 익스플로러8 정식 버젼이 출시되었습니다. 이제는 웹사이트 제작하는 일을 하지 않아서 거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쓸일이 없습니다. 잠깐 써본 느낌은 IE7처럼 뭔가 답답한 느낌 없이 윈도우7처럼 가벼워진 느낌입니다. 가벼워진 디자인에서 받는 느낌도 큰 것 같습니다. 뭔가 설정할게 많고 잘 안 와닿는 기능들이 많은 것은 여전하군요. 호환모드로 전환하는 버튼 때문에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어쨌든 MS가 자랑스럽게 내놓은 표준 브라우저입니다. IE7때 처럼 IE7에 맞췄더니 다른 브라우저에서 깨지고 심지어 IE6에서도 잘 안나와 …
browser |2009-03-20 | Comments (2)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가표준 기술 가이드라인
한국 정보문화 진흥원에서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가표준 기술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습니다. 좀더 효과적으로 웹 접근성을 알리고 실무현장에서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가이드라인을 정리 개편한 것입니다. 기존의 항목에서 수가 많이 줄어서 기준이 완화된 것이 아닌가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 그런 측면이 약간은 있지만 갯수가 줄어든 만큰 많이 완화 된 것은 아닙니다. 항목의 객관화를 위해서 많이 노력했고 그러다보니 일부 객관화가 힘든 항목들이 빠졌습니다. 예를 들어서 글자의 크기와 대비와의 관계는 약시자의 접근성에 있어서 …
accessibility |2009-03-18 | Comments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