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을 고려한 신기술 콘텐츠 제작기법
accessibility | 2009-04-11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웹 접근성을 고려한 신기술 콘텐츠 제작기법이 나왔습니다. 자바스크립트, 플래시, 플렉스와 같은 콘텐츠를 사용할 때 어떻게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연구한 보고서입니다.
책으로 인쇄된 것을 보다가 아쉬운 부분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점진적 향상(progressive enhancement)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HTML을 낮은 수준이라고 얘기한 부분이 있는데 이 표현이 HTML의 기술 수준이 낮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이 부분을 작성할 때 HTML을 낮추는 느낌이 안들도록 신경을 많이 썼는데 편집하는 부분에서 그 부분이 사라진 것 같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자바스크립트나 CSS보다 훨씬 어려운게 HTML입니다. '낮은'이라는 표현을 안쓰고 다른 '기반'같은 표현을 사용하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남네요. 최종 원고를 제대로 확인 안 한 제 잘못이 큽니다. 혹시 오해하시는 분들이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참 많은 분들이 참여하신 보고서입니다. 같이 고생하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Recent Comments
- 신현석 규모 작은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고 있어요. 2023-01-07
- 문지훈 스벨트킷으로 정하셨군요!! 진짜 쉽게 시작할 수 있겠더라구요. 2023-01-07
- Brian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제 경우에는 max-width를 고려해야했는데 그럴경우는 max-width와 min 을 이용하면 가능해지더라구요. 이를 공유합니다. ``` #movie-player-wrapper { position: relative; width: 100%; height: 0; overflow: hidden; - padding-bottom: 40%; + max-width: 1200px; + padding-bottom: min(40%, 480px); } #movie-player-wrapper .wrap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 2022-11-16
- ㅎㅎ 늘 반박하고 싶었던 용어중에 하나입니다. 당시에도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전세계 어디에도 없었고 같은 롤을 하던 외국인 친구는 본인이 프론트엔드디벨로퍼라고 하더라구요. 그게 뭐냐고 물어봤더니 자기 프로필 사이트를 보면 쉽게 이해될거라 해서 봤더니 디자인도하고 css도하고 자바스크립트도하고 앞단 ui를 구현하는 롤이었어요. 지금 국내에서 프론트엔드개발자의 역할이 또 왜곡이 되는거죠. 지금 한국에서는 리액트 또는 뷰로 모바일을 구현해야 프론트엔드 개발자라고 한다네요. 그 당시 한국에서는 퍼블리셔라는 용어가 생겨서 그렇게 얘기한다고 했더니 외국인 친구다 엄청 깔깔대며 출판사쪽 일하는줄 알았다고 미안하다고 했어요 좀 창피하긴 하더라구요. 신현석님께서도 좀 깊이 생각해보셔야할 문제인거 같습니다. 2022-10-22
- 신현석 제 생각의 어떤 부분이 잘 못 되었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저때는 CSS가 글자 스타일만 지정하는 정도로 쓰였고 대부분의 스타일을 HTML로만 해결하던 때였습니다. CSS 도입이 시급했고 JavaScript는 DHTML이라는 개념으로 브라우저 호환성에 고통받던 시기였습니다. 지금과는 상황이 많이 달랐습니다. 그리고 저는 CSS와 JavaScript를 같이 다뤄야 생산성과 품질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사람입니다. 퍼블리셔를 CSS를 다루는 사람으로 분리해서 개념화 한 적도 없습니다. 오히려 HTML 코더들이 CSS를 적극 도입하고 클라이언트 템플릿 개발까지 해야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생각은 지금도 여전하고 리액트로 FE에 입문하신 분들이 HTML이나 CSS는 등한시하는 현실을 한탄하고 있답니다. 2022-10-15
- 신현석 사람마다 느끼는 시간이 다를 것 같네요. 제 기억에 20년 전에는 단연 플래시 애니메이션이 대세였고요. 그 다음에 CSS3가 도입되면서 CSS 애니메이션이 사용되었지만 플래시가 없어지고 HTML5가 유행하면서 애니메이션 자체가 많이 없어 졌습니다. 제 기억에 SVG가 많이 쓰인 부분은 지도나 플롯이 필요한 특정 분야밖에 없었고 최근 3~4년 정도에 SVG가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SVG 애니메이션이 어떤 부분에 많이 쓰였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전'이라고 표현하신 부분이 언제를 얘기하시는지도 궁금하네요. 2022-10-15
- FE SVG 애니메이션 많이 쓰입니다... 예전부터 많이 쓰였어요... 2022-10-13
- FE 책임지시고, 본인이 만든 이 단어의 오용 그만 생길 수 있도록, 본인의 생각이 잘못된다는 점 인정하세요. 본인이 잘못 개념화한 부분 때문에 많은 업계 부작용이 유발되고 있습니다. 진짜 말도 안 되는 퍼블리셔라는 말을 만들어서 오히려 UI 개발자 영역과 업무범위만 더 한정되고 있어요. 표준성 따지면서 왜 이런 독립적인 개념화를 하신 건가요? 이제 퍼블리셔라는 말 그만 써야 한다고 글 올리시고, 악영향 준 점도 인정하시기 바랍니다. 2022-10-13
- 시원한물 웹퍼블리셔라는 말의 기원을 첨 알게되었어요. 신기해요^^ 한사람의 고민으로 탄생된 단어라니..대단해요. 2004년 웹디자이너로 시작해서 플래시를 억지로 배워야했고, 출산하고 다시 취업전선에 나왔더니 HTML5 낮선환경을 겨우 적응했는데.. 회사에서 저에게 웹퍼블리셔 프론트엔드을 공부라하고하네요. 나이는 많고 어떻게 공부해야되나 여기저기 검색하다 여기까지 오게되었어요. 웹퍼블리셔 멋진 직업이네요. 멋진 일이란걸 알았으니 해야할 동기 충전하고 갑니다. 저자신을 한단계 발전시킬수 있게 노력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2022-09-29
- 사랑합니다 압도적 감사 2022-09-05
Comments
PDF 파일을 책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전문 출력 업체는 많이 비싸니까, 대학교 앞 복사집 같은데서 하시면 비교적 저렴하게 만드실 수 있을 거에요. 저한테 인쇄된 것이 몇 권 있기는 한데 드릴 방법이 마땅치 않아서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
파일 pdf로 있는데 출력하기 너무 방대해서(회사에서 많은양은 인쇄하는걸 눈치를 줘서..ㅠㅠ.. ) 책으로 구해보고싶은데.. 어떻게 좋은방법좀 알려주세요.. ^^. 너무 좋은내용들인데 pdf로만 보기에는 너무 아까워서욤..^^
아. 전에 실전 웹 표준 가이드라는 녀석을 무작정 회사프린터로 출력보냈다가 다 나온 거 보고 깜짝 놀랐던 기억이;ㅁ; 저것도 만만찮겠네요;_;
오늘 진행한 세미나에서도 잠시 보고서에 대해 언급을 했는데 많은 분이 잘 모르고 계시더군요. 좀 더 많이 알리는 작업을 해야겠네요. ^^ 인쇄해서 봐도 괜찮겠네요. 커뮤니티등에서 공동으로 제본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제본해서 사용하는 정도는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정보문화진흥원에 여쭤 보시면 확실할 것 같네요.
제 컴퓨터에서 PDF파일을 다운받으면 내용이 비어있는건 저만그런건가요? 흠. 왜이러지
아는분이 PDF를 주셨는데 언제나왔나 했는데 ㄷㄷㄷ (내용보고 후덜덜 언제 이많은걸;;;) 정말 수고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