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스태틱 파일 버저닝
스태틱 파일을 변경하고 배포를 하면 클라우드 플레어가 캐시를 하고 있어서 바로 적용이 안되고 수동으로 캐시 삭제를 해줘야 적용이 됐다. 자주 하는 일은 아니어서 손으로 해오다가 스태틱 파일 버저닝을 해보기로 했다. 파이선 환경이니 플라스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검색해 봤다. 플라스크 오토버저닝(Flask-Autoversion)이라는 패키지가 있는데 이 기능은 플라스크 템플릿에 적용하는 것이어서 다른 종류의 파일에 경로가 있으면 사용 할 수 없다. 검색하다 보니 스태틱 파일에 쿼리 스트링 붙이는 방식으로 버저닝 하지 ……
dev |2021-01-30 | Comments (0)
2020년 CSS 트랜드
자바스크립트 트랜드를 조사해서 공유하는 자바스크립트 트랜드(State of JavaScript) 사이트에서 CSS에 대한 조사도 한다는 것을 발견해서 설문에 참여했었는데 2020년 CSS 트랜드(State Of CSS 2020) 결과가 나와서 살펴봤다. 먼저 나의 의도가 다분히 들어간 해석을 할 것이기 떄문에 나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하는 것이 좋은 사전 정보가 될 것 같다. 나는 "복잡한 셀렉터를 잘 다뤄야 CSS를 잘 쓸 수 있다"고 생각하고 "id 셀렉터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CSS를 잘 모르는 사람"이 ……
dev |2021-01-19 | Comments (0)
원숭이섬의 비밀 SE
하드 정리하다가 원숨이섬의 비밀 SE(The secret of Monkey Island sepcial edition)가 있길래 플레이 해봤다. 어렸을 때는 엄청 오래 했던거 같은데 플레이 타임은 생각보다 짧아서 하루만에 클리어되는 분량이다. 게임 하면서 화면이 예뻐서 열심히 캡춰했는데 유투브에 원숭이섬의 비밀 SE 플레이 영상이 이미 많아서 굳이 필요가 없었다. 특별판이 음성도 지원되고 화면도 예쁘지만 역시 오리지널 원숭이섬의 비밀이 더 향수를 불러온다. 다른 게임도 있나 찾아봤는데 룸(Loom)이나 인디아나존스 같은 게임 ……
hobby |2020-12-19 | Comments (0)
굿바이 플래시
사실 플래시를 그렇게 많이 개발하거나 하지는 않았다. 조금 해보긴 했지만 주 업무도 아니었다. 그래도 한 시대를 휘어잡았던 애증의 소프트웨어를 이제 더이상 볼 수 없다니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묘한 기분이 든다. 이 사이트에도 플래시 관련된 내용을 정말 많이 썼다. 처음 HTML을 만지다가 접한 플래시는 새로운 돌파구 같은 느낌이었다. 그때는 웹표준이나 CSS는 없었다. 당연히 플래시쪽에 관심이 갔고 하루종일 타임라인을 헤메면서 무비클립을 계속 반복 재생하면서 뭔가를 만들던 기억이 난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다지 복잡하지 않은 ……
software |2020-12-09 | Comments (1)
URL에서 쿼리스트링의 파라메터 가져오기
지금까지 split로 URL을 잘라서 쓰곤 했는데 URL API를 사용하면 아주 쉽게 URL을 파싱해서 각 구성 요소를 참조할 수 있다. let parsed = new URL('https://hyeonseok:mypassword@hyeonseok.com:5555/path?query=value#pagefragment'); parsed.origin // "https://hyeonseok.com:5555" parsed.host // "hyeonseok.com:5555" parsed.href // "http ……
dev |2020-11-01 | Comments (0)
유년기의 끝
유년기의 끝 - 아서 C. 클라크 탄생 100주년 기념판을 회사 동료가 권해줘서 읽게 되었다. 아이작 아시모프는 많이 들어봤지만 아서 클라크는 생소했다. 하지만 대충 검색해봐도 모르고 있던 내가 무지했던 거고 아이작 아시모프, 로버트 A. 하인라인과 함께 SF의 3대 거장으로 꼽히는 사람이다. 시작 부터 이 떡밥을 언제 어떻게 수습하려고 이렇게 던져두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런거 없다. 그냥 그 다음장에서 바로 회수하고 엄청 빠르게 이야기가 전개 된다. 중반에 약간 늘어진 것 빼고는 아주 몰입도 높고 재미있게 봤다. 끝까지 ……
book |2020-10-13 | Comments (0)
PHP에서 파이썬으로 전환
사이트 구성 언어를 PHP에서 파이썬으로 변경했다. 하면서 여러가지 일들을 같이 진행했다. 우선 Pmwiki를 삭제하고 수정 기능 없이 콘텐츠 보여주는 기능으로 변경했다. 위키의 권한을 계속 열어놨었는데 사람들이 글자 바꿔보는 정도 테스트만 하고 내용을 편집하는 사람은 없었다. 내가 쓰기에도 위키가 그다지 편하지 않고 이제 위키쪽은 업데이트도 거의 안해서 기능을 없앴다. 데이터 저장을 대부분 텍스트 파일로 하고 있었는데 하나의 SQLite DB로 통합했다. 예전에는 공용 서버를 사용해서 사이트 접근 로그 기능을 만들어 쓰 ……
dev |2020-09-27 | Comments (2)
지정된 크기의 더미 파일 만들기
20 메가 이상의 파일을 올리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만들고 테스트 하려니 해당 크기의 파일이 있어야 하는데 찾거나 만들기가 쉽지 않았다. 검색해보니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 나온다. 맥에서는 리눅스에서 파일 만드는 방법 중에 아래의 방법을 사용해서 파일을 만들 수 있었다. truncate -s 20M oversize.jpg Big Sur의 zsh에서(?)는 truncate나 fallocate 같은 명령어는 없다고 나온다. 댓글에 상우가 올려준 dd는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윈도우도 다양한 ……
dev |2020-08-23 | Comments (1)
object-fit과 그 대체 방법
const style = document.createElement('style'); style.innerHTML = `#body img { max-width: none; } .obj-fit { margin: 0; padding: 0; list-style: none;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 .obj-fit img { width: 100%; height: 100%; object-fit: cover; } .obj-fit-alternat ……
dev |2020-06-28 | Comments (1)
웹서버를 엔진엑스로 교체
패쓰랑 미투데이 백업을 띄워놓은게 있는데 스태틱 페이지임에도 불구하고 이미지 등 로딩이 너무 느렸다. 그래서 어떻게 튜닝해야 하나 물어봤다가 그냥 엔진엑스 쓰라고 해서 아파치 대신 엔진엑스로 교체해 보기로 했다. 하는 김에 서버도 새로 발급해서 우분투 20.04에 소프트웨어들도 다 최신으로 깔아버렸다. 문제는 내가 돌리는 사이트들이 다 너무 오래된 것들이어서 호환성 문제가 많이 발생했다는 점이다. PHP는 깔 때 마다 mbstring을 까먹는다. MySql에는 PASSWORD()도 없어지고 PHP에는 get_magic_quotes ……
dev |2020-06-13 |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