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프론트 엔드 엔지니어와 웹 퍼블리셔

HTML 코더와 차별화 하기 위해서 웹 퍼블리셔라는 말을 만들었지만 업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는 HTML 코더와 큰 차이가 없는가 보다. 실제로 업계에 있는 많은 사람들은 웹 퍼블리셔를 예전의 HTML 코더와 동일하게 PSD를 웹 페이지로 옮겨내는 일을 하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다. AJ님도 항상 강의때 보면 웹 퍼블리셔들은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프로그래밍에 대한 스킬이 낮은 사람 정도로 생각하시는 것 같다. 모 게시판에서도 예전의 HTML 코더가 웹 퍼블리셔로 바뀌었다고 말하는 것을 봤다. 웹 퍼블리셔라는 말을 처음 사용 …

web |2011-06-01 | Comments (13)

사용자 자바스크립트로 불편한 사이트 개선하기

오페라 사용자 자바스크립트(Opera User Javascript)는 사용자가 만든 자바스크립트를 웹 페이지에서 구동시키는 기능입니다. 사용자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면 내가 사용하는 웹 페이지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바꿀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자 자바스크립트로 만든 유용한 기능들을 사용자들이 공유하기도 합니다. 유용한 오페라용 사용자 JavaScript 모음 오페라 유저 스크립트 (User Script) 그리스몽키 사용하기 이 사용자 자바스크립트는 "AdSweep으로 구글 크롬, 오페라의 광고 차단하기"에서 소개한 것 처럼 오 …

dev |2011-05-28 | Comments (8)

KWCAG2 견고성

견고성 원칙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웹 콘텐츠가 다양한 환경에서도 적절하게 접근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다양한 환경이라고 하는 것에는 사람에 따라서 입장차이가 있을 수 있다. 초기의 '기술적 진보성'에서는 이러한 환경을 매우 다양하게 바라보고 최대한 범위를 넓혀서 생각한 측면이 없지 않다. 링스라는 텍스트 브라우저의 경우에도 웹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모든 사용자를 포괄해서 접근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원칙을 통해서 웹사이트가 우수사례를 따라서 개발되도록 희망한 측면도 …

accessibility |2011-05-27 | Comments (2)

CSS 절대 위치를 사용한 프레임 효과

프레임 셋을 사용하면 여러 파일을 관리해야 되고 요즘은 서버쪽 언어 없이 개발 되는 웹사이트도 거의 없기 때문에 프레임 셋을 이용해서 제작되는 사이트는 거의 없다. 또한 페이지 분할이 필요할 때에도 CSS로 이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셋을 사용할 경우는 로컬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밖에 없는 것 같다. CSS로 프레임 효과를 만들기 위해서 이해해야 할 속성 값은 auto이다. 레이아웃 가운데 정렬에서도 좌우 여백을 auto로 지정을 하면 브라우저가 알아서 좌우 여백을 지정한다. 절대 위치를 지정한 박스에서도 높이나 너비를 a …

dev |2011-05-26 | Comments (16)

HTML 문법 검사의 중요성을 보여준 작은 예

얼마전에 메일로 받은 질문 중에 HTML5를 사용했을 때 구글 크롬에서 한글이 잘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 있었다.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다 잘 나온다는 것을 봤을 때 잘못된 문자가 들어갔거나 문서 선언이 잘 못됐을 거라고 추측은 했지만 건네받은 파일을 봤을 때는 무슨 문제인지 한 눈에 알기가 힘들었다. 실제로 파일을 만들어서 테스트를 해 보니 진짜 크롬에서만 인코딩이 유니코드로 잡히지 않고 한국어(?)로 인식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경험상 브라우저간의 다른 동작은 문법 검사를 해보면 제일 확실히 원인 분석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

dev |2011-05-23 | Comments (4)

민원24에서 등본 발급 받기

주민등록 등본을 발급받기 위해서 G4C 사이트에 접속을 했습니다. G4C 사이트가 민원24사이트로 변경됐는지 도메인이 바뀌더군요. 정권 바뀔때마다 부처들 도메인이 다 바뀌어서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서비스명이 바뀌어도 이렇게 연결시켜주니 좋은 것 같습니다. 정부 부처사이트들 보다는 민원 사이트가 아무래도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봅니다. 행정안전부나 정보화진흥원 회의때 G4C 사이트가 표준화를 위해서 노력을 많이 했다고 들어왔기 때문에 사파리에서 등본 발급 정도는 될 것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로그인도 잘 되고 발급 화면까지 무사 …

web |2011-05-19 | Comments (0)

오페라 브라우저 버튼 설정 기능

오페라에서 근무할 때에는 자뻑인 것 같아서 오페라 자랑하는 글을 쓰지를 못했는데 이제는 맘 편히 말 할 수 있게 됐습니다(ㅋㅋ). 브라우저에 대한 호불호는 정말로 개인차가 심하지만 특히나 오페라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그 이유가 천차만별입니다. 워낙 기능이 많고 다양해서 오히려 별로 안좋아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만 한번 써볼 만 한 브라우저인 것 같습니다. 깔아서 몇번 테스트 해보는 정도가 아니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이 기능 저기능들을 써보면 진가가 발휘되는 것 같습니다. 오페라를 나오고 그동안 의무감으로 브라우저를 사용한게 아닌가 …

browser |2011-05-15 | Comments (0)

홈텍스 삽질

홈텍스에서 증명서류를 하나 발급받기 위해서 접속을 했습니다. 아시다시피 홈텍스에서는 이미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여러 브라우저와 플랫폼을 지원하도록 만든 바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너무 방심했네요. 소심하게 윈도우로 접속해 봤습니다. 눈썰미 있으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윈도우가 좀 특이한 버젼입니다. 경량화된 영문 윈도우즈 FLP입니다. 윈도우즈 XP와 얼마나 다른건지 잘은 모르겠지만 서비스팩도 다 깔았고 한글팩만 설치해주면 별 차이가 없더군요. 지금까지 인터넷 뱅킹이나 카드결제 등 아무 문제없이 써왔습니다. 왜 홈텍스만 …

web |2011-05-13 | Comments (3)

품질마크와 웹 접근성

어제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2011 웹 접근성 향상 전략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저는 KWCAG2의 네번째 원칙인 견고성(robust; 942KB PDF)에 대해서 소개를 했습니다. 매번 비슷한 내용으로 발표를 하다보니 작년이나 재작년에 세미나에 오셨던 분들은 좀 식상하셨을 것 같습니다. 원론적인 얘기보다는 구체적인 기술별 방법을 소개해야 할 것 같은데 제가 잘 모르기도하고 그렇다고 원론적인 얘기를 아주 안 할 수는 없어서 매번 이런 일이 반복되는 것 같습니다. 다른 기술 전문가 분들도 많이 참여해 주셨으면 좋을 것 같네요. 2011년 …

accessibility |2011-05-03 | Comments (4)

4월 25일 12시 06분

아빠가 되었습니다. 눈도 크고 팔다리도 길고 아주 이쁩니다. 아가인데 쌍꺼풀도 있습니다. 엄마를 닮아야 하는데 저를 닮았다고들 해서 좀 걱정입니다. 발가락은 엄마 닮았어요(ㅋ). 배냇짓 할 때는 너무 이쁜데 잠에서 깨서 울때는 안절부절입니다. 차차 나아지겠죠? 아직은 서툴지만 좋은 아빠가 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쑥쑥아, 아빠와 엄마는 너를 만나서 너무 행복하단다. 아프지말고 쑥쑥 커서 행복한 사람이 되렴. 아빠와 엄마는 쑥쑥이를 아주 사랑한단다.

life |2011-05-02 | Comments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