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KTH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고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을 때는 정말 굉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을 처음 느낀 것이 PC 통신, 케텔(KETEL)이었습니다. 그때는 인터넷 전용선같은 것이 없었기 때문에 전화로 연결을 했습니다. 그 독특한 전화 연결음을 기억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습니다. 집에 전화번호가 하나밖에 없었기 때문에 다른 방에서 전화 수화기를 들면 칙칙대는 이상한 소리만 들리던 것도 기억납니다. 오늘부터 KTH UX 디자인실 FI팀으로 출근을 하게 되었습니다. 어릴때 사용하던 서비스를 했던 …
work | 2011-06-20 | Comments (14)
사용자 입력을 변형하는 다음 에디터
제 홈페이지 주소 URL을 메일로 전달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메일 받으신 분께서 페이지가 안열린다고 하시더군요. 그분에게 전달된 메일을 보니까 제가 입력한 URL이 변형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 URL 중간에 있던 javascript라는 디렉토리 이름이 Java-script로 변형이 되어 있었습니다. 제가 메일을 보낸 곳은 지메일이고 그분이 메일을 받으신 곳은 다음메일(한메일)이었습니다. 제가 가는 다음 까페 중에 웹 디자인과 관련된 곳이 있는데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질문도 자주 올라옵니다. 그러다보니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올리는 …
site | 2011-06-05 | Comments (1)
제이쿼리 기본 API
제이쿼리 기본 API(pdf, 2.7MB) 강의 자료입니다. 유틸리티나 기타 메서드가 빠져있는데 이쪽에도 유용한 메서드들이 좀 있네요.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분들은 기본적인 문법하고 API 설명만 해드리니까 예제 코드들 보고 바로 UI를 제작하시더군요. 솔직히 좀 놀랐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보신 분은 제이쿼리 기본 개념만 익히고 어떤 API가 있는가만 훑어보면 바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이해하고 배우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결론은 프로그래밍 실력은 영어 실력(응?). + 2011년 민간개발자 웹접근성교육 (전문가 과정)에 …
dev | 2011-06-04 | Comments (7)
프론트 엔드 엔지니어와 웹 퍼블리셔
HTML 코더와 차별화 하기 위해서 웹 퍼블리셔라는 말을 만들었지만 업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의미는 HTML 코더와 큰 차이가 없는가 보다. 실제로 업계에 있는 많은 사람들은 웹 퍼블리셔를 예전의 HTML 코더와 동일하게 PSD를 웹 페이지로 옮겨내는 일을 하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다. AJ님도 항상 강의때 보면 웹 퍼블리셔들은 자바스크립트에 대한, 프로그래밍에 대한 스킬이 낮은 사람 정도로 생각하시는 것 같다. 모 게시판에서도 예전의 HTML 코더가 웹 퍼블리셔로 바뀌었다고 말하는 것을 봤다. 웹 퍼블리셔라는 말을 처음 사용 …
web | 2011-06-01 | Comments (13)
사용자 자바스크립트로 불편한 사이트 개선하기
오페라 사용자 자바스크립트(Opera User Javascript)는 사용자가 만든 자바스크립트를 웹 페이지에서 구동시키는 기능입니다. 사용자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면 내가 사용하는 웹 페이지에 기능을 추가하거나 바꿀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용자 자바스크립트로 만든 유용한 기능들을 사용자들이 공유하기도 합니다. 유용한 오페라용 사용자 JavaScript 모음 오페라 유저 스크립트 (User Script) 그리스몽키 사용하기 이 사용자 자바스크립트는 "AdSweep으로 구글 크롬, 오페라의 광고 차단하기"에서 소개한 것 처럼 오 …
dev | 2011-05-28 | Comments (8)
KWCAG2 견고성
견고성 원칙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웹 콘텐츠가 다양한 환경에서도 적절하게 접근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다양한 환경이라고 하는 것에는 사람에 따라서 입장차이가 있을 수 있다. 초기의 '기술적 진보성'에서는 이러한 환경을 매우 다양하게 바라보고 최대한 범위를 넓혀서 생각한 측면이 없지 않다. 링스라는 텍스트 브라우저의 경우에도 웹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모든 사용자를 포괄해서 접근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원칙을 통해서 웹사이트가 우수사례를 따라서 개발되도록 희망한 측면도 …
accessibility | 2011-05-27 | Comments (2)
CSS 절대 위치를 사용한 프레임 효과
프레임 셋을 사용하면 여러 파일을 관리해야 되고 요즘은 서버쪽 언어 없이 개발 되는 웹사이트도 거의 없기 때문에 프레임 셋을 이용해서 제작되는 사이트는 거의 없다. 또한 페이지 분할이 필요할 때에도 CSS로 이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셋을 사용할 경우는 로컬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밖에 없는 것 같다. CSS로 프레임 효과를 만들기 위해서 이해해야 할 속성 값은 auto이다. 레이아웃 가운데 정렬에서도 좌우 여백을 auto로 지정을 하면 브라우저가 알아서 좌우 여백을 지정한다. 절대 위치를 지정한 박스에서도 높이나 너비를 a …
dev | 2011-05-26 | Comments (16)
HTML 문법 검사의 중요성을 보여준 작은 예
얼마전에 메일로 받은 질문 중에 HTML5를 사용했을 때 구글 크롬에서 한글이 잘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 있었다.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다 잘 나온다는 것을 봤을 때 잘못된 문자가 들어갔거나 문서 선언이 잘 못됐을 거라고 추측은 했지만 건네받은 파일을 봤을 때는 무슨 문제인지 한 눈에 알기가 힘들었다. 실제로 파일을 만들어서 테스트를 해 보니 진짜 크롬에서만 인코딩이 유니코드로 잡히지 않고 한국어(?)로 인식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경험상 브라우저간의 다른 동작은 문법 검사를 해보면 제일 확실히 원인 분석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
dev | 2011-05-23 | Comments (4)
민원24에서 등본 발급 받기
주민등록 등본을 발급받기 위해서 G4C 사이트에 접속을 했습니다. G4C 사이트가 민원24사이트로 변경됐는지 도메인이 바뀌더군요. 정권 바뀔때마다 부처들 도메인이 다 바뀌어서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서비스명이 바뀌어도 이렇게 연결시켜주니 좋은 것 같습니다. 정부 부처사이트들 보다는 민원 사이트가 아무래도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봅니다. 행정안전부나 정보화진흥원 회의때 G4C 사이트가 표준화를 위해서 노력을 많이 했다고 들어왔기 때문에 사파리에서 등본 발급 정도는 될 것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로그인도 잘 되고 발급 화면까지 무사 …
web | 2011-05-19 | Comments (0)
오페라 브라우저 버튼 설정 기능
오페라에서 근무할 때에는 자뻑인 것 같아서 오페라 자랑하는 글을 쓰지를 못했는데 이제는 맘 편히 말 할 수 있게 됐습니다(ㅋㅋ). 브라우저에 대한 호불호는 정말로 개인차가 심하지만 특히나 오페라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그 이유가 천차만별입니다. 워낙 기능이 많고 다양해서 오히려 별로 안좋아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만 한번 써볼 만 한 브라우저인 것 같습니다. 깔아서 몇번 테스트 해보는 정도가 아니라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이 기능 저기능들을 써보면 진가가 발휘되는 것 같습니다. 오페라를 나오고 그동안 의무감으로 브라우저를 사용한게 아닌가 …
browser | 2011-05-15 |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