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滿 세미나
event | 2007-11-22
프로젝트滿(Project10000)에서 세미나를 합니다. 저는 프로젝트滿에 대해서 처음들어봤는데 웹에이전시 쪽에서는 나름 유명한 기획인가 보군요.
기술적인 세미나가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많이 배워갈 수 있는 세미나가 될 것 같지도 않습니다. 그냥 제가 지금까지 생각해 오던 것들을 나누고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한테 따질 것이 있는 분도 환영입니다. 이미 자리는 다 찼지만, 글을 잘("입회비 입금하게 습니다. 통장번호 알려주세요." 뭐 이런거.....농담입니다.) 적어주시는 분들을 위주로 뽑기 때문에 경쟁률은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또 모르죠. 명단 뽑는날 시간 없으면 랜덤으로 돌릴지도;; 여러분들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Recent Comments
- 리베하얀 할말이 많지만... 한국에만 있는 직업이라는 것에 대해서 전혀 개의치도 않고 부끄러워할 이유도 없다고 봅니다. 이 직업군에 대해서 이해라며녀 00년대에 무슨일이 일어났었는지.. 알필요가 있고 국내만의 특수한 환경때문에 만들어진 직업군이고... 근래에 들어 국제화가 되면서 문제시 몇몇분이 문제삼는것 같은데... 본인의 업무 바운더리는 본인이 만드는거지.. 그 단어안에 갇혀서 본인의 수준이나 인식을 만든다고 보지 않습니다. 코더니 UI개발자니, 퍼블리셔니, FE니.. 웹마스터니 풀스택이니 ㅎㅎ 많은 직업군으로 불리우고 있지만 솔직히 본인의 역량에 따라 불리운다고 생각합니다. 당시에 신현석님이 던진 하나의 단어에 여전히 밥먹고 살고 있고, 때때론 자부심도 느낍니다. 2023-11-26
- Sarah Jeong 안녕하세요. 이런 글타래가 있는지 이제야 알게되어 흥미있게 글타래를 읽어보았네요. 제가 방금 글타래라고 쓴것처럼, 댓글이라는 단어에도 여러 다른 이름이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는 암묵적으로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하는데요 EX 1.) 글타래(민 우리말. 인터넷 게시판에서 어떤 게시글과 그에 대한 답신으로 쓰여진 게시글들의 모임. [NAVER 국어사전 글 인용]) = 댓글(게시물 밑에 남길 수 있는 글을 표현한 단어) = 코멘트(영어 코멘트를 한국어로 표현한 단어) = 리플(영어 reple을 한국어로 표현한 단어) = 스레드(thread) EX 2.) Height(사물의 높이, 사람의 키&신장, 키가 높음, 지상으로부터의 고도) 해당 단어는 발음에서 논란이 된적이 있습니다. (설마.. 고인물만 아는 거일지도...T^T..) 미국, 영국 등 주요국가에서는 해당 단어의 발음을 한국어 발음 표현으로 '하이트' or '하잍' 라고 읽으나, 스페인어로 해당 단어는 '헤이트' or '헤잍' 라고 읽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스페인어를 쓰는 인구는 2019년 3월 기준으로 4억 6천만명이며, 영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3억 7천만명이라고 구글검색에 나옵니다. EX 3.) 2023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각 세대 별로 쓰는 한 가지 표현에 대한 단어들도 다릅니다. 50대 이상이신 분들은 한자어를 주로 사용하신 세대들이고, 10대 ~ 20대분들은 줄임말 또는 은어를 만들어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의 예시와 같이 한 가지를 가리키는 명사에 여러가지 표현이 존재하고, 모든 사람들이 표준어 하나만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전라도, 충정도, 경상도 방언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암묵적으로 우리는 알고 있다 생각합니다 물론, 표준어처럼 한 가지 표현만 존재하면 다시 한번 확인하는 절차없이 의사소통이 원활할테지만, 우리는 일상속에서도 방언이나 댓글, 줄임말 등의 다른 표현들을 받아들이고 있는 존재들입니다. 만드신 분의 말씀대로 그저 지나온 과거에서는 그 표현이 필요하여 쓰여졌었다고 이해하고 넘어가시면 어떨까하여 주절대며 나불거려보았네요.. PS. 쓰잘데기 없는 제 생각을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AI도 발전해나가고 있는 마당에 같은 인종끼리 싸우지 맙시다~~~ㅋㅋㅋ 2023-11-13
- 신현석 김진원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을 수정했습니다. 2023-06-03
- 김진원 php도 더 적은타이핑으로 가능합니다. [$a, $b] = [$b, $a]; 2023-06-03
- 김정규 PHP… ㅋㅋ 2023-06-03
- 신현석 규모 작은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고 있어요. 2023-01-07
- 문지훈 스벨트킷으로 정하셨군요!! 진짜 쉽게 시작할 수 있겠더라구요. 2023-01-07
- Brian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제 경우에는 max-width를 고려해야했는데 그럴경우는 max-width와 min 을 이용하면 가능해지더라구요. 이를 공유합니다. ``` #movie-player-wrapper { position: relative; width: 100%; height: 0; overflow: hidden; - padding-bottom: 40%; + max-width: 1200px; + padding-bottom: min(40%, 480px); } #movie-player-wrapper .wrap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 2022-11-16
- ㅎㅎ 늘 반박하고 싶었던 용어중에 하나입니다. 당시에도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전세계 어디에도 없었고 같은 롤을 하던 외국인 친구는 본인이 프론트엔드디벨로퍼라고 하더라구요. 그게 뭐냐고 물어봤더니 자기 프로필 사이트를 보면 쉽게 이해될거라 해서 봤더니 디자인도하고 css도하고 자바스크립트도하고 앞단 ui를 구현하는 롤이었어요. 지금 국내에서 프론트엔드개발자의 역할이 또 왜곡이 되는거죠. 지금 한국에서는 리액트 또는 뷰로 모바일을 구현해야 프론트엔드 개발자라고 한다네요. 그 당시 한국에서는 퍼블리셔라는 용어가 생겨서 그렇게 얘기한다고 했더니 외국인 친구다 엄청 깔깔대며 출판사쪽 일하는줄 알았다고 미안하다고 했어요 좀 창피하긴 하더라구요. 신현석님께서도 좀 깊이 생각해보셔야할 문제인거 같습니다. 2022-10-22
- 신현석 제 생각의 어떤 부분이 잘 못 되었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저때는 CSS가 글자 스타일만 지정하는 정도로 쓰였고 대부분의 스타일을 HTML로만 해결하던 때였습니다. CSS 도입이 시급했고 JavaScript는 DHTML이라는 개념으로 브라우저 호환성에 고통받던 시기였습니다. 지금과는 상황이 많이 달랐습니다. 그리고 저는 CSS와 JavaScript를 같이 다뤄야 생산성과 품질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사람입니다. 퍼블리셔를 CSS를 다루는 사람으로 분리해서 개념화 한 적도 없습니다. 오히려 HTML 코더들이 CSS를 적극 도입하고 클라이언트 템플릿 개발까지 해야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생각은 지금도 여전하고 리액트로 FE에 입문하신 분들이 HTML이나 CSS는 등한시하는 현실을 한탄하고 있답니다. 2022-10-15
Comments
흐음... 하코사에서 이런 저런 이야기가 오가는 건 봤는데... '디자인과 개발의 사이에서 늘 보이지 않게 수고하는 웹코더,웹퍼블리셔의 이야기'는 아닐 듯 한데요? 세미나 잘 하구 오세용~ 가고싶어도 요즘은 빼도박도 못하니; ㅡ.ㅜ
좀 색다른 세미나가 될듯한.. 하지만 전 그날 부산에; 세미나 잘 하시구용^^
블로그에 글도 못올려서... 그동안 세미나나 외부활동 한번 제대로 못해봐서... 한번 등록해볼려고 했더니;; 7일~8일 웤샵이래요..ㅠ_ㅠ
입구근처에 앉아있다가 먼저 나간 사람이 접니다. 학교에서 4시에 시험이 있어서요. 안보면 졸업이 어려울 수도 있는 상황이어서 불가피하게 먼저 나갔습니다. 분위기상 나가면 안되는 거였는데 죄송합니다. 크. 편안하게 찬찬히 내용 정리해주셔서 재미있게 듣고 있었는데, 본격적일듯한 부분부터 못들어서 아쉬웠어요. 다음에 기회가 되면 또 찾아가서 뵈어야 겠습니다. 업무관련 이야기인데도 그저 재밌는걸 보면, 역시 관심있는 이야기는 솔깃하게 되는가봐요.
저는 플만 세미나에 참석해서 그 맨바닥에서 열심히 들은 바람입니다. 토요일 오후 즐거운 시간을 보낸듯하내요..... 맛있는 공짜 커피와 함께... 처음에는 진짜 첨만...진행이 아주 쪼금 미흡하셨으나... 마지막은 아주 멋지셨어요.. Q&A 시간도 많이 생각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 말해주셨고요..... 시간이 짧고 저희 소극적인 성격이 아쉬었지만... 그래서 더욱더 기억나는 세미나였습니다.
이름이 동일하여 막판에 선물 챙겨간 사람입니다 토요일 세미나 너~~무 너무 좋았습니다 프로그래머라 디자이너 세미나에 열심히 참석했지만 고개만 끄덕이고 내용 전파에만 노력했었는데 요번엔 직접 그때 보여주셨던 내용을 직접 해보고 내용들을 전파해볼 생각입니다 덕분에.. ^^ 많은 이들이 좋아할듯 합니다 웹이 조금씩 발전하는 느낌이 드네요~ 오늘도 행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