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blog.net 개편과 AJAX
site | 2006-12-20
올블로그의 게시물이 AJAX로 불러들여 진다는 말을 듣고 자바스크립트를 꺼봤다. 도대체 다들 왜 이러는 거냐. 서버측에서 해야 할 일과 클라이언트 측에서 해야할 일을 이리도 구분 못한단 말인가! 그것도 가장 중요한 컨텐츠인 실시간 글목록을... 자바스크립트는 어디까지나 덤이지 필수 기능이 될 수 없다.
Recent Comments
- 신현석 김진원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을 수정했습니다. 2023-06-03
- 김진원 php도 더 적은타이핑으로 가능합니다. [$a, $b] = [$b, $a]; 2023-06-03
- 김정규 PHP… ㅋㅋ 2023-06-03
- 신현석 규모 작은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고 있어요. 2023-01-07
- 문지훈 스벨트킷으로 정하셨군요!! 진짜 쉽게 시작할 수 있겠더라구요. 2023-01-07
- Brian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제 경우에는 max-width를 고려해야했는데 그럴경우는 max-width와 min 을 이용하면 가능해지더라구요. 이를 공유합니다. ``` #movie-player-wrapper { position: relative; width: 100%; height: 0; overflow: hidden; - padding-bottom: 40%; + max-width: 1200px; + padding-bottom: min(40%, 480px); } #movie-player-wrapper .wrap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 2022-11-16
- ㅎㅎ 늘 반박하고 싶었던 용어중에 하나입니다. 당시에도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전세계 어디에도 없었고 같은 롤을 하던 외국인 친구는 본인이 프론트엔드디벨로퍼라고 하더라구요. 그게 뭐냐고 물어봤더니 자기 프로필 사이트를 보면 쉽게 이해될거라 해서 봤더니 디자인도하고 css도하고 자바스크립트도하고 앞단 ui를 구현하는 롤이었어요. 지금 국내에서 프론트엔드개발자의 역할이 또 왜곡이 되는거죠. 지금 한국에서는 리액트 또는 뷰로 모바일을 구현해야 프론트엔드 개발자라고 한다네요. 그 당시 한국에서는 퍼블리셔라는 용어가 생겨서 그렇게 얘기한다고 했더니 외국인 친구다 엄청 깔깔대며 출판사쪽 일하는줄 알았다고 미안하다고 했어요 좀 창피하긴 하더라구요. 신현석님께서도 좀 깊이 생각해보셔야할 문제인거 같습니다. 2022-10-22
- 신현석 제 생각의 어떤 부분이 잘 못 되었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저때는 CSS가 글자 스타일만 지정하는 정도로 쓰였고 대부분의 스타일을 HTML로만 해결하던 때였습니다. CSS 도입이 시급했고 JavaScript는 DHTML이라는 개념으로 브라우저 호환성에 고통받던 시기였습니다. 지금과는 상황이 많이 달랐습니다. 그리고 저는 CSS와 JavaScript를 같이 다뤄야 생산성과 품질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사람입니다. 퍼블리셔를 CSS를 다루는 사람으로 분리해서 개념화 한 적도 없습니다. 오히려 HTML 코더들이 CSS를 적극 도입하고 클라이언트 템플릿 개발까지 해야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 생각은 지금도 여전하고 리액트로 FE에 입문하신 분들이 HTML이나 CSS는 등한시하는 현실을 한탄하고 있답니다. 2022-10-15
- 신현석 사람마다 느끼는 시간이 다를 것 같네요. 제 기억에 20년 전에는 단연 플래시 애니메이션이 대세였고요. 그 다음에 CSS3가 도입되면서 CSS 애니메이션이 사용되었지만 플래시가 없어지고 HTML5가 유행하면서 애니메이션 자체가 많이 없어 졌습니다. 제 기억에 SVG가 많이 쓰인 부분은 지도나 플롯이 필요한 특정 분야밖에 없었고 최근 3~4년 정도에 SVG가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SVG 애니메이션이 어떤 부분에 많이 쓰였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전'이라고 표현하신 부분이 언제를 얘기하시는지도 궁금하네요. 2022-10-15
- FE SVG 애니메이션 많이 쓰입니다... 예전부터 많이 쓰였어요... 2022-10-13
Comments
실시간 글목록이라면 저라도 ajax를 사용하겠습니다만
업데이트에 사용하는 것은 고려해볼 만 하죠. 하지만 맨 처음 화면에 출력하는 것까지 Ajax를 쓸 이유는 없습니다. 당연히 서버측에서 처리를 해서 완결된 하나의 문서로 출력을 해야 하는 것이지요. 화면 구성은 클라이언트에서 할 일이 아나라 서버에서 처리할 문제라는 것입니다.
제 생각은 서버에서 할 일을 줄이는 것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_-;; 이를테면 구글이 수많은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주게 하는 것은 결국 클라이언트에서 열심히 부지런히 일을 하게 구성한 것이라 생각되구요..
Ajax로 컨텐츠 삽입하는 거랑 페이지 로딩 될 때 HTML로 컨텐츠 삽입하는 거랑 서버에서 하는 일의 차이는 없습니다.
초기화할 때 정적으로 HTML 출력하는 것과, Ajax로 렌더링 이후에 출력하는 것에 서버측 차이는 없지 않나요? 굳이 따지자면 Ajax 쪽은 리퀘스트를 두 번 하니 그쪽이 더 비효율적이죠(초기화 자체만 볼 때 말입니다).
동의합니다. 사이트 제작시 자바스크립트가 전혀 없이도 아무 문제없도록 제작후에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편의기능을 추구하도록 만들어야 하겠죠. 자바스크립트가 주가 되어서는 안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