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웹 기술 워크샵 2010 발표자료 공유
event | 2010-11-04
브라우저 밴더들이 중심이 되어서 웹 기술에 대해서 얘기하는 글로벌 웹 기술 워크샵 2010이 오늘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있었습니다. 요즘 가장 이슈가 되는 HTML5와 CSS3를 중심으로 각 브라우저들의 스펙 구현과 차기 브라우저 버전의 소개가 있었습니다. 특히 올해에는 다음의 FT센터장이신 정규돈님을 초청하여 실제 신기술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구현하는 사례와 좋은 말씀을 많이 들었습니다.
저도 오페라 데스크탑 브라우저의 차기 버전인 오페라 11과 HTML5 주요 요소들과 CSS3(PDF; 4.8MB)에 대해서 발표를 했습니다. 다른분들의 화려한 데모들에 비해서 너무 정적인 내용만 다룬게 아닌가 걱정도 좀 됐습니다. 사람 자체가 별로 재미 없어서 그런 것이니 이해를 바랍니다. :)
기술도 중요하지만 기술을 잘 활용해서 인간에게 어떠한 가치를 줄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HTML5나 CSS3만 부각되어서 정작 사람을 위한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밀리고 있는 듯한 요즘이어서 조금 걱정도 됩니다. 사람나고 기계가 났는데 지금은 기계에 끌려다니는 것 같습니다. 또 정보가 너무 과잉되다보니 저 자신도 점점 바보가 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요. 이러한 좋은 기술을 잘 활용하셔서 본인도 좋은 대우를 받고 사회에 가치를 되돌릴 수 있는 그런 훌륭한 분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Recent Comments
- Roblwn In today's rapid world, staying informed about the latest advancements both locally and globally is more vital than ever. With a plethora of news outlets vying for attention, it's important to find a trusted source that provides not just news, but analyses, and stories that matter to you. This is where <a href=https://www.usatoday.com/>USAtoday.com </a>, a top online news agency in the USA, stands out. Our dedication to delivering the most current news about the USA and the world makes us a primary resource for readers who seek to stay ahead of the curve. Subscribe for Exclusive Content: By subscribing to <a href=https://www.usatoday.com/>USAtoday.com</a>, you gain access to exclusive content, newsletters, and updates that keep you ahead of the news cycle. <a href=https://www.usatoday.com/>USAtoday.com </a> is not just a news website; it's a dynamic platform that enables its readers through timely, accurate, and comprehensive reporting. As we navigate through an ever-changing landscape, our mission remains unwavering: to keep you informed, engaged, and connected. Subscribe to us today and become part of a community that values quality journalism and informed citizenship. 2025-02-04
- ㅇㄴㅇㄴ 사무직을 하다가 그만두고 국비지원 학원을 다닌 후 현재 리액트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컴퓨터 학원을 간게 아니라 디자인 학원을 가게 되었고 그곳에서는 퍼블리셔와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용어를 혼동해서 사용하였습니다 즉 저는 한동한 "HTML 마크업 + 스타일링 + 약간의 이벤트" 오로지 "사용자가 보고 있는 부분"만 다루는 작업이 "프론트엔드 개발"로 알고 있었습니다 ============> 우리가 흔히 퍼블리셔라고 불리는 영역입니다 하지만 학습할수록 사용자 영역과 소위 백엔드라고 불리는 영역과의 호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때부터 지금까지 배웠던것과 전혀 다른 역할과 기능들을 학습하게 되었습니다 즉 자바스크립트도 event와 document 부분이 아닌 배열과 객체를 편집하는 것을 배워야 하고 API를 호출해 어떻게 사용자 영역으로 가져와야 하는가 등등 기존 퍼블리셔 역할군과 전혀 다른 것들을 다루게 되었습니다 ============> 이것이 프론트엔드 영역입니다 제가 두 가지 길을 모두 걸어본 바 프론트엔드 개발은 퍼블리셔의 완벽한 상위 호환이고 추구하는 목적도, 기술도 완전히 다릅니다 처음부터 다른 길을 가야하고 생각의 구조도 다르게 가야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처음에 퍼블리셔라는 말이 처음에는 편가르기 하는것처럼 싫었지만 지금은 명확하게 길을 제시한다는 관점에서 좋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2024-05-20
- 잘 읽고갑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한 저자의 태도가 인상적이었네요 2024-03-15
- southRain 좋은 글과 댓글 잘 보았습니다. 저 역시 이 업계의 일을 하는 사람으로써 '웹퍼블리셔' 라는 단어를 만드신 분을 이제 알았네요. 해당 용어를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덕에 제 업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전 이제껏 '웹퍼블리셔' 라는 직무에 부끄러운 적 없었습니다. '웹 퍼블리셔' 라는 직무를 부끄러워 하는 건, 본인이 해당 업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잘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해외와 국내의 개발업무 포지션에 대한 단어가 다를 뿐인데, 유독 국내 개발자들 중에는 굳이 급을 나누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근데 그렇게 급을 나누는 만큼 기본이 되어있는지 의심스러울 때도 많았습니다. 퍼블리셔와 상의없이 css framework 로 화면 대충 만들다가... 디자이너 요청 대로 화면 수정 못하고 대뜸 찾아와서는 수정해달라고 하는 적도 많았고... 만들어 준 화면도 자기 맘대로 이것저것 손대다가 오히려 화면 다 틀어지는 경우도 많이 봤습니다. 이런 걸 보면 오히려 '프론트엔드 개발자' 라고 본인을 지칭하는 분들이 해외와 전혀 다른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이제는 면역이 되서... 그런 분들 만나면 '그러려니...' 하고 말지만요. ㅎㅎ 각자가 맡은 업무가 있는 거고, 각자의 업무를 서로 존중하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각자의 자리에서 본인 업무를 충실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4-03-05
- 리베하얀 할말이 많지만... 한국에만 있는 직업이라는 것에 대해서 전혀 개의치도 않고 부끄러워할 이유도 없다고 봅니다. 이 직업군에 대해서 이해라며녀 00년대에 무슨일이 일어났었는지.. 알필요가 있고 국내만의 특수한 환경때문에 만들어진 직업군이고... 근래에 들어 국제화가 되면서 문제시 몇몇분이 문제삼는것 같은데... 본인의 업무 바운더리는 본인이 만드는거지.. 그 단어안에 갇혀서 본인의 수준이나 인식을 만든다고 보지 않습니다. 코더니 UI개발자니, 퍼블리셔니, FE니.. 웹마스터니 풀스택이니 ㅎㅎ 많은 직업군으로 불리우고 있지만 솔직히 본인의 역량에 따라 불리운다고 생각합니다. 당시에 신현석님이 던진 하나의 단어에 여전히 밥먹고 살고 있고, 때때론 자부심도 느낍니다. 2023-11-26
- Sarah Jeong 안녕하세요. 이런 글타래가 있는지 이제야 알게되어 흥미있게 글타래를 읽어보았네요. 제가 방금 글타래라고 쓴것처럼, 댓글이라는 단어에도 여러 다른 이름이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는 암묵적으로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하는데요 EX 1.) 글타래(민 우리말. 인터넷 게시판에서 어떤 게시글과 그에 대한 답신으로 쓰여진 게시글들의 모임. [NAVER 국어사전 글 인용]) = 댓글(게시물 밑에 남길 수 있는 글을 표현한 단어) = 코멘트(영어 코멘트를 한국어로 표현한 단어) = 리플(영어 reple을 한국어로 표현한 단어) = 스레드(thread) EX 2.) Height(사물의 높이, 사람의 키&신장, 키가 높음, 지상으로부터의 고도) 해당 단어는 발음에서 논란이 된적이 있습니다. (설마.. 고인물만 아는 거일지도...T^T..) 미국, 영국 등 주요국가에서는 해당 단어의 발음을 한국어 발음 표현으로 '하이트' or '하잍' 라고 읽으나, 스페인어로 해당 단어는 '헤이트' or '헤잍' 라고 읽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스페인어를 쓰는 인구는 2019년 3월 기준으로 4억 6천만명이며, 영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3억 7천만명이라고 구글검색에 나옵니다. EX 3.) 2023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각 세대 별로 쓰는 한 가지 표현에 대한 단어들도 다릅니다. 50대 이상이신 분들은 한자어를 주로 사용하신 세대들이고, 10대 ~ 20대분들은 줄임말 또는 은어를 만들어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의 예시와 같이 한 가지를 가리키는 명사에 여러가지 표현이 존재하고, 모든 사람들이 표준어 하나만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전라도, 충정도, 경상도 방언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암묵적으로 우리는 알고 있다 생각합니다 물론, 표준어처럼 한 가지 표현만 존재하면 다시 한번 확인하는 절차없이 의사소통이 원활할테지만, 우리는 일상속에서도 방언이나 댓글, 줄임말 등의 다른 표현들을 받아들이고 있는 존재들입니다. 만드신 분의 말씀대로 그저 지나온 과거에서는 그 표현이 필요하여 쓰여졌었다고 이해하고 넘어가시면 어떨까하여 주절대며 나불거려보았네요.. PS. 쓰잘데기 없는 제 생각을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AI도 발전해나가고 있는 마당에 같은 인종끼리 싸우지 맙시다~~~ㅋㅋㅋ 2023-11-13
- 신현석 김진원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본문을 수정했습니다. 2023-06-03
- 김진원 php도 더 적은타이핑으로 가능합니다. [$a, $b] = [$b, $a]; 2023-06-03
- 김정규 PHP… ㅋㅋ 2023-06-03
- 신현석 규모 작은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고 있어요. 2023-01-07
Comments
올해로 4년째인 이번 미래 웹 기술 워크샵을 보면서, 멋진 기술과 훌륭한 데모를 볼 수 있었습니다. 다만, 그 기술을 실무적으로 접근하고 적용하기 위한 부분에 대한 내용이 조금 부족한 거 같아요. 단편적인 예제보단, 구글/트위터/페이스북 또는 국내의 네이버/다음/네이트 등 대형 웹서비스 회사가 사용하는 기술에서 예제를 보여줬으면 좋았을 거 같더군요. 좋은 기술을 구현하는 멋진 사람들이 나오려면, 롤모델이 필요하죠. 현석님이 멋진 사람이 되길 바랍니다. :)
재미없는 사람이라고 하시지만 멋지십니다 :)
책임님 재미 있으세요! :) 발표 준비하시느라 수고하셨어요. 자료 드린다고 해놓고 별로 도움 못드려 죄송해요.ㅠ